곤충, 복족류/기타 곤충

집게를 들고 포식자를 위협하는 <좀집게벌레> Anechura japonica (Bormans, 1880)

말하는 청설모 2024. 10. 10. 15:45
728x90

*분류: Arthropoda (절지동물문) > Hexapoda (육각아문) > Insecta (곤충강) > Dermaptera (집게벌목) >Neodermaptera > Forficuloidea (못뽑이집게벌레상과) > Forficulidae (집게벌레과) > Anechurinae > Anechura (좀집게벌레속) > japonica (좀집게벌레)

 

  멋진 집게를 가진 곤충이라고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것은 사슴벌레이다. 사슴벌레는 집게가 머리쪽에 달려 있다. 그런데 집게가 꽁무니 쪽에 달려있는 곤충도 있다. 바로 집게벌레이다. 예전에는 지금의 사슴벌레를 '집게벌레'라고 불렀고, 지금의 집게벌레는 '가위벌레'라고 불렀다고 한다.

 사슴벌레는 숲 속에서 살아가며, 집에서 사슴벌레를 보기는 힘들다. 그러나 우리의 집게벌레는 집에서도 종종 눈에 띈다. 습한 곳을 좋아하는 집게벌레는 가정집 장판 밑에서도 살아갈 수 있다. 오늘은 숲 근처에 있는 산책로에서 우연히 이 집게벌레를 발견했는데, 사진을 찍으려고 다가가자 마치 전갈처럼 등을 휘어서 나에게 집게를 들이댄다. 살짝 놀랐다. 이름에는 '작다'는 의미를 가진 '좀'이 붙어 있는데, 몸 크기와는 달리 공격성은 꽤 높은 것 같다.

 

 이 녀석은 "좀집게벌레"인 것 같다. 옅은 노란색을 띈 날개 끝부분이 살짝 튀어나와 있으며, 다리는 약간 노란색, 몸은 전체적으로 약간 붉은색을 띄기 때문이다. 혹시 내가 잘못 동정한 것이라면 꼭 알려주시기 바란다.

 아무튼, 집게벌레의 집게는 무슨 용도일까? 가위처럼 무언가를 자르는 용도라기보다는, 집게처럼 무엇인가를 찔러서 붙잡는 용도로 사용한다. 먹잇감을 붙잡거나 암컷을 두고 다른 수컷과 경쟁할 때 이 집게를 사용한다. 집게벌레의 집게는 서로 약간 비대칭인 경우가 많다고 한다. 왜냐? 집게가 서로 약간 비대칭이어야만 먹잇감을 좀 더 강하고 깊게 찌를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집게벌레 암컷은 모성애가 높은 것으로 유명하다. 집게벌레는 알을 낳은 뒤 그 알 주변을 끝까지 지키며, 알들이 부화하면 기력이 다해 죽는다고 한다. 그러나 이 내용은 직접 관찰해본 적이 없기 때문에 사실인지 아닌지 말할 수는 없을 것 같다.

 

 앞으로 집에서 집게벌레를 발견하면, 약간은 친숙하게 볼 수 있을 것 같다.  

2024년 10월, 강원도 태백
2024년 10월, 강원도 태백
2024년 10월, 강원도 태백

 

<참고자료>

https://kid.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8/13/2009081302017.html

https://namu.wiki/w/%EC%A7%91%EA%B2%8C%EB%B2%8C%EB%A0%88

 

집게벌레

곤충강 집게벌레목 곤충으로, 집게벌레아목으로 좁혀 정의하기도 한다. 형태 몸은 곤충 내에서는 중간급의 크기이며, 대

namu.wiki

https://www.youtube.com/watch?v=cTXUC78eEEc

 

728x90